산후관리사 서비스

상담전화:1666-03334

아이사랑 산후도우미

산후관리사 서비스
서비스 안내 산후관리사 서비스

산후관리사 서비스

산모케어 서비스

1 산모 식사

산모님의 영양과 회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원하시는 반찬을 중심으로 균형 잡힌 맞춤형 식사를 정성껏 준비해 드립니다. 또한, 가족의 식사도 함께 제공하여 산모님이 식사 준비에 대한 부담 없이 편안하게 회복하실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좌욕

자연분만 후 회음부 회복을 돕기 위해 온좌욕을 1일 1회 정도 실시하며, 산모님의 상태와 요청에 따라 횟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좌욕을 통해 순환을 촉진하고, 보다 편안한 회복을 돕습니다.



3 부종 관리

산후 부종 완화와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 찜질팩을 활용한 관리를 제공합니다. 부종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여 보다 빠른 회복을 지원합니다.

4 모유 수유 케어

젖몸살을 예방하고 원활한 모유 수유를 위해 따뜻한 찜질과 부드러운 마사지 등의 케어를 진행합니다. 산모님이 편안하게 모유 수유를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며, 수유에 대한 궁금증이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해드립니다.



5 유축기 사용 지원

젖몸살 예방과 수유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유축기 사용을 돕고, 모유 유축을 지원해 드립니다. 산모님의 모유 수유 패턴에 맞춰 유축을 도와드리며, 보다 편안한 수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관리해드립니다.

아기케어 서비스

1 아기 상태 체크

매일 아기의 상태를 꼼꼼히 체크하고, 그 정보를 아기 상태 체크 수첩에 기록하여 아기의 변화나 필요한 관리 사항을 빠짐없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목욕 & 케어

아기의 청결을 위해 1일 1회 목욕을 진행하며, 아기의 피부와 건강 상태를 세심하게 살펴봅니다. 또한 아기의 성장 발육과 신경 발달을 돕는 다양한 케어를 제공하여 건강한 성장을 지원합니다.



3 위생 관리

배꼽 소독, 우유병 소독, 유축기 관리 등을 철저히 진행하여 아기의 위생을 관리하고, 질병 예방에 최선을 다합니다.

4 수유 관리

아기의 모유 수유는 물론, 올바른 수유 방법과 자세를 도와드리며, 젖병을 이용한 수유도 지원합니다. 아기가 편안하게 수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5 아기 빨래

아기의 옷은 가족의 옷과 분리하여 세탁하며, 아기의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요소가 없도록 신경 써서 삶거나 세탁합니다.

가사 및 가족 서비스

1 가족식사

산모님과 상담 후 기본 산모 식단을 기반으로 산모와 가족을 위한 식사를 준비합니다. (간단한 장보기는 근무시간 내 가능)

2 청소

산모방, 아기방, 거실 등 주요 공간을 깨끗하게 정리하고 청소합니다.



3 세탁

어른 옷과 아기 옷을 구분하여 세탁하고 정돈합니다.

4 큰아이 서비스

어린이집이나 유치원 하원 지원 및 아이의 식사와 간식을 챙겨줍니다.

서비스 신청 방법 안내

좌우로 스크롤 하세요.
구분 내용
신청 장소 산모의 주민등록 주소지 관할 시·군·구 보건소
신청 기간 출산 예정일 40일 전부터 출산일로부터 30일 이내
신청자격 국내에 주민등록 또는 외국인 등록을 둔 출산 가정
(단, 부부 모두가 외국인인 경우 당해 외국인은 국내 체류자격 비자(사증) 종류가 F-W(거주), F-5(영주), F-6(결혼이민)인 경우에 한함)
제출서류 사회보장급여 제공 신청서 등 각 1부
  • · 산모 및 배우자 건강보험증 사본 (맞벌이는 부부 모두 제출)
  • · 산모 및 배우자의 소득 증빙자료
  • · 가구원수 확인자료(주민등록 서류 및 가족관계증명서 등)
  • · 출산(예정)일 증빙서류 : 의사 진단서, 출생증명서(출산 후)등
  • · 휴직 확인자료(예외지원 대상 확인자료) : 소속 직장에서 발급하는 증명서로 휴직 기간과 유/무급 여부, 유급 시 월급여액등을 기재

바우처 서비스 내용

산모케어 서비스

1 산모 식사

산모님의 영양과 회복을 최우선으로 고려하여, 원하시는 반찬을 중심으로 균형 잡힌 맞춤형 식사를 정성껏 준비해 드립니다. 또한, 가족의 식사도 함께 제공하여 산모님이 식사 준비에 대한 부담 없이 편안하게 회복하실 수 있도록 돕습니다.

2 좌욕

자연분만 후 회음부 회복을 돕기 위해 온좌욕을 1일 1회 정도 실시하며, 산모님의 상태와 요청에 따라 횟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좌욕을 통해 순환을 촉진하고, 보다 편안한 회복을 돕습니다.



3 부종 관리

산후 부종 완화와 혈액 순환을 돕기 위해 찜질팩을 활용한 관리를 제공합니다. 부종으로 인한 불편함을 줄이고, 통증을 완화하여 보다 빠른 회복을 지원합니다.

4 모유 수유 케어

젖몸살을 예방하고 원활한 모유 수유를 위해 따뜻한 찜질과 부드러운 마사지 등의 케어를 진행합니다. 산모님이 편안하게 모유 수유를 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며, 수유에 대한 궁금증이나 어려움을 함께 해결해드립니다.



5 유축기 사용 지원

젖몸살 예방과 수유를 원활하게 하기 위해 유축기 사용을 돕고, 모유 유축을 지원해 드립니다. 산모님의 모유 수유 패턴에 맞춰 유축을 도와드리며, 보다 편안한 수유 경험을 제공할 수 있도록 세심하게 관리해드립니다.

아기케어 서비스

1 아기 상태 체크

매일 아기의 상태를 꼼꼼히 체크하고, 그 정보를 아기 상태 체크 수첩에 기록하여 아기의 변화나 필요한 관리 사항을 빠짐없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합니다.

2 목욕 & 케어

아기의 청결을 위해 1일 1회 목욕을 진행하며, 아기의 피부와 건강 상태를 세심하게 살펴봅니다. 또한 아기의 성장 발육과 신경 발달을 돕는 다양한 케어를 제공하여 건강한 성장을 지원합니다.



3 위생 관리

배꼽 소독, 우유병 소독, 유축기 관리 등을 철저히 진행하여 아기의 위생을 관리하고, 질병 예방에 최선을 다합니다.

4 수유 관리

아기의 모유 수유는 물론, 올바른 수유 방법과 자세를 도와드리며, 젖병을 이용한 수유도 지원합니다. 아기가 편안하게 수유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안내드립니다.

5 아기 빨래

아기의 옷은 가족의 옷과 분리하여 세탁하며, 아기의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는 요소가 없도록 신경 써서 삶거나 세탁합니다.

바우처 서비스 안내

  • 가. 추진근거
    • ①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 ② 「 저출산ㆍ고령사회기본법」 제8조 내지 제10조
  • 나. 사업목적
    • ① 출산가정에 건강관리사를 파견하여 산후관리를 지원함으로써 산모와 신생아의 건강을 증진하고 출산가정의 경제적 부담을 경감
    • ②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 양성을 통해 사회적 일자리 창출
  • 다. 지원대상
    • ① 산모 및 배우자의 건강보험 본인부담금 합산액이 기준중위소득 150%이하 금액에 해당하는 출산가정
      ※ 기본지원 대상 소득 기준을 초과하더라도 지역자율형 사회서비스 투자사업 예산 범위내에서 광역 시·도지사가 별도 소득기준을 정하여 승인한 출산가정(또는 산모)
  • 라. 지원내용
    • ① 산모·신생아 건강관리사가 일정 기간 출산가정을 방문하여 산후관리를 도와주는 산모·신생아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권 지급 출산일로부터 60일 이내(60일이 경과되면 바우처 자격 소멸)
  • 마. 지원기간
    좌우로 스크롤 하세요.
    태아유형 출산순위 서비스기간
    단축형 표준형 연장형
    단태아 첫째아 5일 10일 15일
    둘째아 10일 15일 20일
    셋째아 이상 10일 15일 20일
    쌍태아 둘째아 10일 15일 20일
    셋째아 이상 15일 20일 25일
    삼태아 이상, 중증 장애산모 구분없음 15일 20일 25일
  • 바. 서비스 비용
    • ① 서비스 총 가격 : 보건복지부가 정한 상한선 범위 내에서 개별 제공기관이 자율적으로 서비스 가격 책정
    • ② 정부지원금 : 소득수준 및 신생아 유형에 따라 차등 지원
    • ③ 본인부담금 : 서비스 총 가격에서 정부지원금을 뺀 차액 부담
    바우처 서비스 요금 알아보기
  • 사. 서비스 제공자
    • ① 「사회서비스 이용 및 이용권 관리에 관한 법률」 제 16조 제 1항 및 같은 법 시행규칙 제 9조[별표1]에 따라 등록한 제공기관
    • ② 서비스 제공인력은 같은 법 시행규칙에 따라 보건복지부장관이 고시한 「산모 신생아 방문서비스 제공안내 교육과정」을 이수한자 및 아동복지법 제 26조의2제2항에 따른 '아동학대 예방교육'을 이수한자 중 제공인력 결격사유에 해당하지 않는 자